[이전 글]
2021/01/23 - [Algorithmic Trading] - 증권사 API 자동매매 #003 - 시세(틱 데이터 tick data) 집착
[그리고 계속]
이전에 쓴 글처럼 과거 시세 데이터에 집착할 필요는 없지만,
실제로 자동매매 프로그램의 테스트 단계부터는 시세 데이터가 의미는 있습니다.
실제로 어떤 시세에 어떻게 반응을 한 건지,
자동매매 프로그램이 사전에 알려준 전략대로 적절하게 대응을 하긴 한 건지
알아야 하기 때문이고,
예외적인 상황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시각에 수신한 시세 데이터를 알아야
향후 위험관리 차원에서 어떻게 대처를 할 것인지
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대부분 자동매매를 좀 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이런 상황을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.
자동매매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
앞으로 꼭 경험하시게 될 세계입니다.
천재인 줄 알았던 프로그램이 내가 원하는 대로 동작해주지 않습니다.
하지만, 프로그램은 전략 그대로 수행하고 있었을 뿐이거든요......
'Algorithmic Trad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증권사 API 자동매매 #006 - 전략을 만드는 아이디어 (0) | 2021.02.02 |
---|---|
증권사 API 자동매매 #005 - 전략은 어떻게 만들죠? (0) | 2021.01.31 |
증권사 API 자동매매 #003 - 시세(틱 데이터 tick data) 집착 (2) | 2021.01.23 |
증권사 API 를 사용한 자동매매 프로그램 만들기 #002 (0) | 2021.01.23 |
증권사 API 를 사용한 자동매매 프로그램 만들기 #001 (0) | 2021.01.04 |